2022 스마트 모빌리티 & 스마트 물류 혁신 전략 컨퍼런스
미래 성장 산업의 원동력이자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인 모빌리티로 달라지는 스마트 물류의 방향과
스마트 물류체계 구축 및 지원을 위한 전략적 대응 방안을 논의하기 위하여 지식 공유의 장을 마련하였습니다.
「2022 스마트 모빌리티 & 물류 혁신 전략 컨퍼런스」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을 모시고
미래 먹거리 산업인 모빌리티 분야와 스마트 물류산업의 생태계 조성의 도전 요인과
향후 전망 및 정책 방향에 대해 논의를 진행하고자 합니다.
스마트 물류체계 구축 및 지원을 위한 전략적 대응 방안을 논의하기 위하여 지식 공유의 장을 마련하였습니다.
「2022 스마트 모빌리티 & 물류 혁신 전략 컨퍼런스」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을 모시고
미래 먹거리 산업인 모빌리티 분야와 스마트 물류산업의 생태계 조성의 도전 요인과
향후 전망 및 정책 방향에 대해 논의를 진행하고자 합니다.
여러분의 많은 참여와 관심 부탁드립니다.
2022 컨퍼런스 개요
- 행사명
- 2022 스마트 모빌리티 & 스마트 물류 혁신 전략 컨퍼런스
- 주제
- 디지털 대전환시대의 스마트모빌리티와 스마트 물류 산업 혁신 전략
- 주최
- 전자신문, 한국도로협회, 코엑스
- 기간
- 2022.10.13(목) – 10.14(금), 2일간
- 장소
- 코엑스 Hall A 전시장 내 컨퍼런스 장
- 참가대상
- 스마트 모빌리티와 스마트 물류 산업 관계자 및 관심 있는 누구나
- 규모
- 선착순 200명
- 참가 비용
- – 사전 등록
하루 : 110,000 원(vat 포함)
이틀 : 165,000 원(vat 포함)
– 현장 등록
하루 : 165,000 원(vat 포함)
연사소개
2022스마트 모빌리티 & 물류 혁신 전략 컨퍼런스
올해 제 1회 STLX 포럼을 대표하는 12명의 연사들을 소개합니다.
2022.10.13.THU ~ 10.14. FRI / COEX HALL A
연사
윤진환
약력
- 고려대 사회학과 졸
- 종합교통정책관(2022.2~)
- 항공정책관(2021.3~2022.2)
- 자동차정책관(2020.9~2021.3)
- 자동차정책과장(2019.4~2020.9)
발표 주제 및 내용
- 모빌리티 시대 선제 대응을 위한 ‘모빌리티 혁신 로드맵’ 소개
- 2027년 완전자율주행 상용화, 2025년 도심항공교통 상용화 등 미래 모빌리티의 일상 구현 및 모빌리티 선도국가 도약을 위한 정부 정책 방향 및 주요 추진과제 소개

민연주
약력
- University of Maryland 토목공학 박사
- 대전광역시 물류정책위원회(2020.6~)
- 중앙건설기술심의위원회 기준정비 분과위원(2020.3~)
- 철도산업위원회 위원(2018.7~)
- 서울특별시 교통위원회(2017.10~)
- 울산광역시 물류정책위원회(2017.4~)
- 한국교통연구원 물류연구본부 선임연구원(2007.6~)
발표 주제 및 내용
- 스마트 물류체계 구축을 위한 물류산업 육성정책
- 코로나19 사태 발생 후 물류업계는 타 산업과 마찬가지로 세계 교역량 감소, 경기침체로 인하여 심각한 수준의 타격을 입을 것으로 전망되었다. 특히 경기침체로 인한 수출입 항공·해운 물류 및 기업물류(B2B) 경쟁력이 약화 될 것으로 전망되었으나 급증하는 온라인 주문수요와 이에 따른 비대면 물류서비스의 활성화로 새로운 경쟁력을 갖추면서 물류산업은 비대면 경제 시대를 선도할 ‘8대 유망 산업’으로 선정되었다. 이에 한국판 뉴딜정책에는 우리 경제의 디지털화 가속 및 비대면화 촉진 등에 중점을 둔 디지털 기반 일자리 창출 및 경제혁신 가속화가 목표인 ‘디지털 뉴딜’ 정책 중 ‘스마트 물류체계 구축’을 포함하고 있다.
오늘날 물류산업은 제조업과 유통업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주요한 기반산업의 역할을 하고 있으며, 코로나19로 촉진되고 있는 비대면화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 할 것으로 전망된다. IoT, AI, 로봇공학, 블록체인 등 기술의 혁신은 전 산업에 영향을 미치며 삶의 방식 자체를 바꾸고 있기 때문에 기술 혁신에 기반한 물류활동의 스마트화를 통해 경제 전반의 디지털 혁신 및 저탄소 체계 전환으로의 목표가 달성 가능해질 것이다. 따라서 본 발표는 이러한 스마트 물류체계 구축을 위한 정부차원의 물류산업 육성정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김은석
발표 주제 및 내용
- 당일배송, 라스트 마일 시장 발전 전략
- 중소형 셀러를 포함한 모든 이커머스 업체가 대기업과 동등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요소들은 어떤 것들이 있으며, 변화되는 시장 상황에서 성과와 효율성 측면에서 어떤 전략을 취하는 것이 경쟁력이 있을지에 대해 많은 고민을 하였습니다.
카카오모빌리티의 당일배송 서비스 ‘오늘의픽업’ 은 기존의 빠른배송 도입에 필요한 물류 인프라 및 배송 인력 구축 등 막대한 자본이 드는 진입장벽을 허물어, 모든 판매자들이 손쉽게 빠른 배송을 도입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습니다.
특히 코로나로 인해 언택트 소비와 배송은 일상이 되었습니다. 많은 소비자들이 빠른 배송에 익숙해져 있으며, 빠른 배송을 경험한 소비자들은 더욱 더 빠른 배송을 원합니다. 빠른 배송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습니다.
이제 기업에서 라스트마일 방향과 전략을 고민해 보는 것은 가치 있는 일이자 꼭 필요한 일입니다. 본 세션을 통해 당일배송 오늘의픽업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느낀 물류 방식의 변화와 사례를 통해 이에 대한 현황을 제시하고 가까운 미래 물류 비전과 라스트 마일에 대한 힌트를 제시합니다.

서호석
발표 주제 및 내용
- UAM(Urban Air Mobility) 생태계 구축
- UAM은 도심 내 운행과 대중 교통을 목표로 하기 때문에 높은 안정성과 편리성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KT의 디지코 플랫폼 역량을 기반으로 안전성과 편리성 확보를 위한 기술 개발 방향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

박문구
발표 주제 및 내용
- 모빌리티 DX向씽킹디자인
- 과학기술에서 출발한 모빌리티 패러다임이 본격적으로 사회, 경제, 산업 밸류체인에 스며들며 새로운 생태계를 디자인해야 하는 시대가 되었다. 각 영역전문성에 갇혀 조각난 생각들을 연결하고 직관적으로 다수의 이해와 실천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연결된 생각과 기술간 살아 숨쉬는 신진대사에 대한 가시적 공유와 미래성장에 대한 믿음이 필요하다.
그러한 시대적 요구에 맞추어 등장한 디지털트윈과 메타버스를 신기술의 현학적 전시에 머물게 하지 않고, 한국의 미래를 긍정적으로 바꿔나갈 좋은 도구로 사용한다. 그 도구를 사용하며 큰 설계를 하는 그분은 누구일까? 어디에 있고, 얼만큼 진척했을까? 나의 기여는 무엇인가?
생각을 디자인하고, 라이프스타일을 새롭게 정의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누구보다도 먼저 문샷을 설계하고 실천할 용기가 한국에 있을까? 주변을 바라보면 긍정적인 신호가 많다. 이를 나누고자 한다.

강기혁
발표 주제 및 내용
- 자율주행 배달로봇을 이용한 라스트 마일 배송 혁신
- 뉴빌리티 회사 소개와 함께 라스트 마일 시장의 동향, 배달로봇 동향, 자율주행 로봇을 통한 라스트마일 시장 혁신 중심의 내용을 포함합니다.

전정규
발표 주제 및 내용
- K-UAM 시대, 우리의 선택과 도전
- 한화시스템은 도심항공 모빌리티 시장의 글로벌 토탈 솔루션 공급 업체로 고객들에게 가장 안전하고 편리한 모빌리티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도심 항공 모빌리티(UAM, Urban Air Mobility)는 지상과 항공을 연결하는 3차원 도심 항공 교통체계로, 도심 상공에서 사람이나 화물을 운송할 수 있는 차세대 교통체계 입니다. 배터리, 모터 기술의 발전과 충돌회피, 자율비행 등 첨단 기술의 등장으로 개인항공기(PAV)는 미래의 새로운 운송수단으로 우리의 삶을 크게 변화시킬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한화시스템은 고도화된 항공전자 및 ICT 기술력을 융합해 신개념의 미래 모빌리티 시장을 선도하고자 하며 기체, 인프라, 서비스를 아우르는 UAM 토탈 솔루션을 소개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이세현
발표 주제 및 내용
- 스마트 물류를 위한 클라우드 기술 활용 전략
- 많은 기업에서 물류의 전 분야에 걸쳐 IT 기술을 접목함으로써 물류 운영의 효율화와 물류 비용 절감을 위한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IoT, Data Analytics, AI 등 관련 기술을 활용하여 유통 및 물류에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은 줄이고 물류의 신뢰성은 극대화하는 스마트 물류 시스템의 구축을 위하여, 쉽고 빠르고 적은 비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클라우드 서비스들을 AWS(Amazon Web Services)에서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클라우드 기술을 스마트 물류에 적용하기 위한 방안과 전략에 대해서 소개합니다.

프로그램 안내
Time | 10/13(목) [스마트 모빌리티] | 연사 | 10/14(금) [스마트 물류] | 연사 |
---|---|---|---|---|
09:30 ~ 10:30 | Registration | |||
10:30 ~ 11:10 | 미래를 향한 멈추지 않는 혁신 ‘모빌리티혁신 로드맵’ |
윤진환 종합교통정책관 (국토교통부) |
스마트 물류체계 구축을 위한 물류산업 육성정책 |
민연주 스마트물류연구센터장 (한국교통연구원) |
11:10 ~ 11:50 (Session 1) |
모빌리티 DX위한 씽킹디자인 | 박문구 전무 (삼정 KPMG) |
당일배송, 라스트마일 시장 발전 전략 | 김은석 부장 (카카오모빌리티) |
11:50 ~ 13:00 | Lunch Break / Business Networking | |||
13:00 ~ 13:40 (Session 2) |
국민기업 KT가 만드는 새로운 국가 모빌리티 경쟁력, KT UAM | 서호석 PM (KT융합기술원) |
Digital Transformation을 통한 Next Smart Logistics |
명창국 담당 (LG CNS) |
13:40 ~ 14:20 (Session 3) |
한화시스템 도심항공 모빌리티 사업방향 | 전정규 팀장 (한화 시스템) |
물류의 디지털 전환, 파스토 풀필먼트 | 진현우 사업전략 Lead (파스토) |
14:20 ~ 14:40 | Coffee Break / Business Networking | |||
14:40 ~ 15:20 (Session 4) |
서울 자율주행 및 커넥티드카 | 강경표 자율협력주행연구센터장 (KOTI) |
자율주행 배달로봇을 이용한 라스트 마일 배송 혁신 | 강기혁 부대표 (뉴빌리티) |
15:20 ~ 16:00 (Session 5) |
NEXT 경기도 자율주행 | 임경일 센터장 경기도 자율주행센터 |
스마트물류를 위한 클라우드 기술 활용 전략 | 이세현 IoT 전문 솔루션즈 아키텍트 (Amazon Web Services) |
16:00 ~ 16:10 | Closing Comment |
*본 일정은 주최측의 사정에 의해 세부 프로그램이 일부 변경될 수 있습니다.
등록신청 안내
- 사전등록 마감
- 2022년 10월 12일(수) 17:00
- 행사 문의
- 전자신문사 정보사업국, 홍선표 차장
(T.02-2168-9338, E. sekmaster@etnews.com)
- 기타 문의
- 결제관련문의 및 참가확인증 발급 관련 문의
전자 신문 정보사업국, 김현경 대리
(T.02-2168-9333, E. khk3611@etnews.com)